진료시간안내

  • 평일 AM09:00~PM06:00
  • 토요일 AM09:00~PM01:00
  • 점심 PM01:00~PM02:00

일요일 및 공휴일휴진

02-401-3330


홈으로

제목

자폐증 아이에게는 개가 아닌 고양이가 최고의 친구?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autism spectrum disorder)는 사회적 상호작용, 의사소통, 충동 조절에 어려움이 있는 신경 발달 장애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에 따르면 미국에서는 54명 중 한 명의 아이가 asd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아이들의 친구가 될 수 있는 반려동물이 있다고 하는데, 그것은 바로 고양이다.

고양이를 키우면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를 가진 아이들의 분리 불안과 공감 능력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건강 정보 사이트 healthday는 19일 이 연구 결과에 대해 자세히 설명했다.

고양이

연구팀이 6~14세의 자폐증 아이를 가진 11명의 가족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고양이를 입양한 후 아이들의 분리 불안, 과잉행동 등이 연구 기간 동안 감소했고 더 많은 공감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저자 칼리스는 “고양이가 개보다 더 나은 선택인 것은 아니지만, 자폐증을 가진 아이와 그의 가족은 고양이를 기르는 것이 적합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자폐증을 가진 아이들은 감각이 예민한데, 개가 가까이에서 크게 짖을 경우 부담을 줄 수 있다. 반면 고양이는 옆에 조용히 앉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부담을 덜 느낄 수 있다.

연구팀은 어린 고양이가 자폐증 아이와 더 친밀하다는 사전 연구를 통해 고양이를 10개월~4세로 구체적으로 선정했다. 고양이는 대부분 성인 기질이 10개월쯤에 생기기 때문에 10개월~4세의 고양이는 성인 기질이 있는 동시에 나이가 어려 연구에 적합했다.

예일대학 발달장애 클리닉 맥파틀랜드 원장은 “반려동물을 입양하기 전에 반려동물을 기르는 데 얼마나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쏟아야 하는지, 아이가 이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능력과 욕구가 있는지, 아이의 목표가 무엇인지 등에 대해 고려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자폐증의 증상은

자폐증의 증상

자폐증의 증상은 대표적으로 사회적 상호관계 장애, 의사소통 및 언어장애, 행동장애 등이 있다. 자폐증 아이의 경우 신체적 접촉을 싫어하고 혼자 지내려 하거나 사람이 아닌 장난감 등에 관심을 많이 보일 수 있다. 부모에 대한 애착 행동이 없는 편이고 낯가림이 없는 경우가 많으며 유아기에 언어발달이 비정상적이거나 늦다. 또한, 이상 행동을 반복적으로 하는 경우가 많고 산만하며 관심사나 활동이 제한적이다.

하이닥 건강 q&a에서 한방소아과 상담의사 정승원 원장은 "어린이집에서만 자폐증 증상과 비슷한 행동 양상을 보이고 집에서는 여느 아이들처럼 생활한다면 자폐증이 아닌 다른 정서적인 문제가 있을 수 있다"라고 말했다. 아이가 장기간 자폐증 증상을 보인다면 전문적인 검사와 진단을 먼저 받는 것이 필요하다.

도움말 = 하이닥 상담의사 김문주 원장 (한방소아과 전문의)

출처: 건강이 궁금할 땐, 하이닥 (www.hidoc.co.kr)
     
이전사진보기
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
  • 병원시설
  • 병원시설
  • 다음사진보기